전체 글
-
NATIT 2021. 2. 17. 11:13
NAT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는 IP패킷의 TCP/UDP 포트 숫자와 소스, 목적지의 IP 주소를 재기록 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떄문에 IP나 TCP/UDP 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 해야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줌 checkSum :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방법 사용 이유 여러대의 Host가 하나의 Public IP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 인터넷 회선 1개 - 공유기 - n개의 host들 접속 -> 인터넷 공유기에 NAT 기능이 탑재 장점 공인 IP 부족 문제 해결 가능 (공인 IP를 전체 사용자에게 할당하지 않아도 됨)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 정보를 알 ..
-
Facade Pattern(퍼사드 패턴)IT 2020. 12. 14. 15:00
이번에 들어가는 프로젝트의 구성이 퍼사드 패턴이라, 프로젝트의 구성을 익힐겸 블로그 글을 정리하게 됐다. 퍼사드 패턴이란?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, 어떤 소프트웨어의 다른 커다란 부분에 대한 간략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객체이다. 네이버 지식 백과 퍼사드 패턴 : https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3532968&cid=58528&categoryId=58528 프로젝트 코드 분석을 하면서 퍼사드 패턴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었다. 프로젝트 구조에서 Facade란 관계있는 클래스들을 묶어 하나의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로 관리해서 전달하는 역할밖에 하지 않아서 특별한 역할이 없다고도 생각했었다. 하지만 이게 바로 퍼사드 패턴의 핵심이었다. ..